site: 검색 연산자로 뭘 할 수 있을까요? 첫 번째로는 사이트 노출의 빠른 확인입니다. 전 포스트로 말씀드린 것처럼 내 티스토리 페이지가 구글에 노출되는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제공하는 URL검사도구를 이용해서 색인이 생성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지만, 빠른 확인을 위해서는 site: 검색어를 사용하는 것이 빠르고 쉬운 방법입니다.
또한 네이버, 다음, 구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므로 여러 포털에 꼭 사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site: 검색 연산자를 사용할 때 주의 할 점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오해 하시면 잘 못 된 생각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꼭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첫 번째는 site: 검색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색인이 완료된 모든 페이지를 보여 주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글에서는 구글 서치 콘솔에서 제공하는 URL 검사 도구를 꼭 사용해서 색인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두 번째는 검색된 노출 결과가 노출 순위대로가 아닌 무작위로 표시가 됩니다. 그래서 해당 결과를 보고 아 해당 포스트 주제 위주로 포스팅을 해야지 하면 안 됩니다.
두 번째로는 site:로 색인된 키워드 확인이 가능합니다. 내 티스토리 블로그에 쓴 키워드가 색인이 돼서 구글에 노출이 되는지 알아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티스토리 속도'라고 검색을 하면 2023년 1월 19일 오후 5시 작성시간 기준으로 데스크톱환경에서는 2번째 페이지 하단 부분에 'PageSpeed Insights로 티스토리 속도 확인하기' 포스팅이 나옵니다. 물론 다른 '티스토리 속도' 키워드가 나오는 포스팅들은 더 밑에 있기 때문에 눈으로 찾아보기 힘듭니다. 이런 경험을 우리 초보들은 매 순간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site:do-something-and-fix-it.tistory.com (한 칸 띄우고) 티스토리 속도'라고 구글 검색창에 입력하면 내 티스토리 내에서 '티스토리 속도'라고 색인이 된 페이지가 보일 겁니다.
내 티스토리 블로그 포스팅이 각 포털 검색사이트에 노출이 되는지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site: 명령어를 사용해 보세요. 그리고 색인된 키워드도 꼭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색인이 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키워드로 내 포스팅이 노출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이야기도 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