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익형블로그만들기

구글 검색 작동 방식 이해하기

반응형

구글 SEO 최적화를 무작정 따라 하다 보니 구글 검색 작동 방식이 뭐길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것은 제가 임의로 지어내거나 다른 블로거 유튜버 등이 한 이야기가 아니라 구글에서 문서화해서 공개하는 내용입니다. 해당 포스팅 내용은 구글 디벨로퍼스 내용을 따르며 설명하기 위해 제가 이해한 부분을 붙이는 형태로 기술하였습니다.

구글-검색-작동방식-이해하기-타이틀

구글 검색은 3단계로 이루어 집니다.
1단계 크롤링하기
2단계 색인 생성하기
3단계 검색결과 게재하기
위 3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것이 다입니다. 즉 크롤링해서 색인 색상이 되면 검색결과로 나오는 아주 심플한 과정이 됩니다.

1단계 크롤링이라는 것은 우리가 작성한 티스토리 페이지는 구글이 어디에 붙어있는지 혹은 조재하는지 여부조차 파악을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URL검색에서 되도록 티스토리를 등록하고 내 티스토리 내에 어떤 포스팅들이 올라갈 수 있는지 구조를 올려 둡니다. 이 구조 목록이 사이트맵이 됩니다. 어렵다고요? 혹시 구글 서치 콘솔에 들어가서 sitemap와 rss를 넣었던 기억이 있으시다면 크롤링에 대한 내용은 모르지만 우린 크롤링에 대한 작업을 한 것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들어가서 뭘 하는지도 모르겠다면 이전에 포스팅했던 내용을 읽어 주세요

티스토리 블로그를 검색되게 만들기-구글

 

티스토리 블로그를 검색되게 만들기-구글

검색 사이트에 노출이 되면 뭐가 좋을까요? 당연히 보는 사람이 늘어납니다. 11월3일 작성 시 누적방문은 약 48명입니다.(블로그 개설 후 8일) 글을 작성하는 11월7일 현재는 약91명으로 두배정도 (

do-something-and-fix-it.tistory.com

이렇게 새롭게 제출된 URL을 발견하기 위해 노예를 이용합니다. 구글봇(크롤러, 로봇, 봇, 스파이더 등으로 부릅니다)이 사이트를 대부분 가져오려고 합니다. 크롤링을 막거나 회원에게만 공유된 즉 로그인을 필요하는 경우에는 발견했다곤 하더라도 크롤링하지 않습니다. 보고도 못 본 척하게 됩니다. 

2단계 색인생성구글이 크롤링한 페이지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나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제가 뭔지 사진 동영상 글들이 뭐가 있는지 핵심 콘텐츠태그와 속성을 처리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색인생성으로 부릅니다.(구글은 문서로 title요소 alt속성에 대해 명기하기 때문에 이를 꼭 지켜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작업 중 구글은 인터넷에 있는 다른 페이지와 중복이 되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색인생성이 되었다면 site: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site:으로 내 티스토리 블로그 확인해 보기

 

티스토리 네이버 구글 줌 네이트 다음 빙에서 검색 되는지 확인하기

전에 올렸던 포스팅에서 내 티스토리 블로그가 네이버와 구글에서 검색되도록 세팅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했었습니다. 그럼 내 티스토리 블로그가 잘 노출이 되는지 확인을 해 봐야겠지요? 그

do-something-and-fix-it.tistory.com

3단계 검색결과가 게재되게 됩니다. 내 포스팅이 노출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에는 site 명령을 해 보는 것과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해서 색인이 얼마나 생성이 되었는지 확인해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가 구글 서치 콘솔을 모른다면 크롤링에 대해 전혀 모르고 블로그를 하고 있다는 말이기 때문에 내 티스토리가 구글에 노출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또한 색인생성이 자동으로 된다고 해도 구글은 친절하고 빠르게 해주지 않기 때문에 우리가 포스팅을 올릴 때마다 손품을 팔아서 색인을 만들어주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로 티스토리 노출 확인하기

 

구글 서치콘솔 활용해서 구글 노출 확인하기

구글 서치콘솔은 티스토리 블로그를 구글에 노출이 되도록 도와줍니다. 하지만, 서치콘솔에 내 티스토리를 등록했다고 해서 계속 도와주진 않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는 구글 서치콘솔을 이

do-something-and-fix-it.tistory.com

오늘도 수습하는 아재는 쉽게 설명한다고는 하는데 어렵게 보이는 마법을 습득해 버리고 말았습니다 :)

반응형